블로그 이미지
자전거, 등산, 여행과 생활의 팁 위주로 공유
초리초리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25. 6. 28. 00:05 나들이

2025년 05월 05일

 

낙동강 자전거길 따라 달성군 구지면에서 출발하여 고령 다산면 까지의 기록이다.

 

이날은 지인과의 동행으로 달성군 구지면까지 자차로 이동/주차하고

 

주차해둔 자전거를 이용하여 고령 다산면까지 이동하였다.

 

이동거리는 약 43km

 

복귀는 대구시내버스를 이용하였다.

 

날씨는 구름이 많고 흐려 비올듯한 날씨 였지만 일기예보상 비소식은 없었음.

 

원래 목표는 대구지하철 2호선 문양역까지 (50km) 였지만

 

이날 고령 다산면에서 늦은 점심 식사를 마치니 일기예보와 달리 일찍 비가 내리고 있어

 

안전상 자전거여행을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아쉽게도 이날은 자전거 액션캠의 메모리 부족으로 일부 촬영을 할 수 없었다.

 

출발지

 

또한 액션캠의 날짜시간설정이 잘못되어 있음을 뒤늦게 알았다ㅠㅠ

달성군 구지면의 버스 종점

 

달성군 구지면은 

대구광역시 최남단에 위치한 면으로, 면적 약 39.76㎢, 인구 약 2만 명입니다. 대니산과 낙동강이 있어 농업이 발달했으며, 대구국가산업단지와 달성2차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산업과 주거가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문화재로는 도동서원과 이노정이 있습니다

 

이곳은 대구 시내를 오가는 급행8, 직행2 등의 좌석버스의 종점이다. 

 

낙동강 자전거길 까지는 자전거로 5분정도 거리, 흐려서 자전거 타기 좋은 날씨
낙동강 자전거길 진입
어린이날 휴일이라 자전거 이용객들을 좀 더 쉽게 마주칠 수 있었다.
아카시아 꽃 냄새를 맡으면 자전거길을 여행하는 즐거움이 배가 된다.
계속 이어지는 국토종주 낙동강 자전거길
하행하는 자전거 여행객들
서행하는 여행객 추월하기
자전거 여행객을 위한 화장실
구지면 도동리 도착
다람재 인근 도동서원이 있는 곳
여기부터는 공도, 주의 필요
우측에 구지하얀가람
구지하얀가람 전망대

구지하얀가람 전망대는 

대구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에 위치한 전망 포인트로, 낙동강과 주변 자연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 전망대는 걷기 좋은 강변 산책로와 자전거길 코스 중간에 자리잡고 있어, 오토캠핑장, 도동서원, 금포천 등 인근 명소들과 연계해 방문하기 좋습니다.

도동서원 은행나무

 

도동서원의 은행나무는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에 위치한, 수령 400년이 넘는 거대한 보호수로, 도동서원의 상징이자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입니다. 이 은행나무는 둘레 약 8.8m, 높이 25m에 달하며, 어른 6명이 팔을 벌려야 겨우 안을 수 있을 정도로 웅장합니다. 나무의 가지는 무게를 견디지 못해 땅에 닿을 만큼 길게 뻗어 있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 5개의 기둥으로 받쳐놓았습니다. 가지가 땅에 닿았다가 다시 하늘로 치솟는 모습은 마치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듯해, 도동서원의 역사와 어우러진 특별한 경관을 연출합니다.

이 은행나무는 1607년(선조 40년) 도동서원이 사액서원이 된 것을 기념해 성리학자 한강 정구가 심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도동서원의 은행나무는 단순한 노거수를 넘어 조선 성리학의 상징 나무로 여겨지며, 매년 가을이면 노랗게 물든 단풍으로 많은 방문객과 사진가들이 찾는 명소가 됩니다.

이처럼 도동서원의 은행나무는 오랜 세월 서원을 지켜온 역사적 상징이자, 자연과 인문이 만나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둘러보고 있는 방문객들, 우리도 함께 둘러 보기로 했다.

달성 도동서원은

1568년 창건되어 조선시대 대표 유학자인 김굉필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진 서원으로, 임진왜란 후 재건되어 지금의 구지면 도동리에 위치합니다. 전학후묘(前學後廟)라는 전형적 서원 배치와 뛰어난 건축미, 그리고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라는 역사적 상징성이 큽니다. 2007년 사적 제488호,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국내외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이 분리된 구조, 수월루·중정당·사당 등 주요 건축물, 김굉필과 정구를 함께 모시는 유교문화의 중심지라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

 

도동서원을 멀리하고 다시 출발, 바로 만나는 다람재, 일단 다람재로 가보자
도동서원터널이 보여 우짜지하며 망설이다.. 시간과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다람재 포기하기로 함
돌아 내려와 터널로 진입
터널안
달성보까지 11.5km, 이제 구지면을 지나 현풍이 눈앞에
현풍읍 오산2리 삼거리, 현풍시내까지는 약 3km 전
현풍 원오교를 지나며, 앞쪽에 비슬산

비슬산 자연휴양림은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대표적인 자연휴양림으로, 다양한 숙박시설과 체험 프로그램,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현풍천교옆 생긴지 오래되지 않은 마을진입 교량(성원교), 자전거길 끊김, 헷갈려 잠시 방황
공사이후(?) 막혀있는 자전거 길



현풍천교 옆 작은 성원교 공사이후 자전거 길이 차단된듯ㅠ 표시 방향으로 진행하였음
현풍3교를 건너면 현풍중.고등학교를 지나게 됨

 

현풍읍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면적은 약 24.5㎢, 인구는 약 2만 1,600명입니다. 교통이 편리하고, 평야와 산지가 어우러진 곡창지대이며, 최근 대구테크노폴리스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문화재로는 현풍향교와 석빙고, 십이정여각 등이 있습니다

 

액션캠 메모리카드 용량 부족으로 공간 확보후 저화질 재촬영

곧 달성보
점점 에너지 고갈로 지치고 있지만...
높은 하늘의 멋진 구름을 감상하며..(위천리 인근)
논공읍 금포천 교량

 

금포천 나무 아래 벤치 위치
지치면 잠시 쉬어갈수 있는 벤치

출발후 30km쯤 타니

엉덩이가 아파와 잠시 휴식하고 가기로함

잠시 휴식후 끌고 가는중
고령군 다산면으로 건너가는 서문진교 1km 전
화원교를 통과하고나면 마주치는 서문진교 통행을 위해 반대편으로 가는 지하 통로

자동차 통행로로도 사용되니 주의 필요

 

대구에서 낙동강을 가로질러 고령군 다산면으로 이어주는 서문진교를 넘어가는 중

 

자전거길 따라 강정고령보로 가기 위하여 서문진교를 통과합니다. 이제 목적지가 코앞

목적지 전 늦은 점심 식사를 위해 고령 다산에 중식당을 가기로 했는데...

1-2km 앞 다산면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ㅠ

다산농협인근 교차로.. 빗방울이 렌즈에 맺혀있음
다산도서관 인근 식당 도착

원래 가기로한 식당은 정기휴무ㅠ

인근 다른 중식당에서 식사

다산농협 인근 중식당에서 식사

시간절약을 위하여 빨리 나오는 짜장면 (잘시킨듯, 만족)을 시켜 맛있게 다먹었으나..

먹고나니 비가 많이 와 자전거 여행 중단ㅠ

 

https://place.map.kakao.com/10183872

 

남경반점

경북 고령군 다산면 다산로 704

place.map.kakao.com

 

중국집에 자전거를 맡기고 버스로 원점 복귀

 

이후 차를 가지고 돌아와 중국집 재방문, 자전거 수거후

 

자전거 한대는 다산 공영주차장에 파킹해 두고 김해로 복귀. 집에오니 22시

 

https://place.map.kakao.com/1593761683

 

다산면사무소 주차장 부지(신규) 전기차충전소

경북 고령군 다산면 다산로 669-9 다산파출소 뒤쪽 주차장

place.map.kakao.com

 

총43km 주행후

일정 종료

 

[고령군 다산면]

 

고령군 다산면(茶山面)은 경상북도 고령군의 북동부에 위치한 면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동쪽으로는 달성군 화원면과 옥포면, 북쪽으로는 다사면과 하빈면, 서쪽으로는 성주군 용암면과 인접해 있습니다. 면 소재지는 평리(坪里)이며, 다산면사무소가 위치해 있습니다.

다산면에는 총 10개의 법정리(행정리 21개)와 여러 자연부락이 있으며, 주요 집성촌으로는 상곡리의 전의이씨, 곽촌리의 달성서씨, 나정리의 행주기씨, 송곡리의 창녕조씨 등이 있습니다. 면적은 약 15.2㎢로, 전·답·임야 등 다양한 용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산면은 대가야시대 유물산포지, 조선 후기 사랑채(장육당), 노곡리 고분군 등 문화유적이 많으며,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등 환경 관련 기관도 위치해 있습니다. 

 

posted by 초리초리